고등어무조림 만들기

가을에서 겨울사이 고등어는 겨울을 나기위해 영양을 축적합니다 통통하게 살이 찐 고등어는 육질도 쫄깃하고 맛있습니다 오늘은 기름진 # 제철 수산물 #고등어로 #고등어조림을 합니다.통째로 고등어를 반으로 자른 후 내장을 제거하고 손질합니다.

고등어나무위키1. 개요 삼치, 참치 등과에 속하는 대표적인 파랑어 중 하나이다. 회로 먹을 경우 그 참치와 맛도 비슷하다. 한국인의 식탁에 조림하여 구이나 찌개로 올리는 국민 생선이다. 경상도에서는 비빔밥·된장찌개 정식에 에피타이저로 타기도 하고 문어·돔구이·가자미처럼 제사용으로도 타기도 한다. 몸길이는 40㎝가 넘고 10~22℃의 따뜻한 바다를 좋아하는 회유성 어종이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치어일 때 플랑크톤을 먹고 성어는 멸치 또는 작은 물고기를 주 먹이로 한다. 2. 상세 고등어떼, 즉 고등어……namu.wiki

고등어는 영양이 풍부하여 성장기 어린이와 노인들에게도 추천하는 반찬입니다.오늘은 온 가족이 고등어조림을 해보겠습니다.

양념장을 만들었어요.고춧가루, 다진마늘, 생강, 집간장, 설탕 또는 물엿, 된장을 골고루 섞어주세요 여기서 요령 하나!들기름을 조금 넣어요.들기름향이 살짝 나면서 비린내는 잡아주기 때문에 더욱 맛있는 고등어 조림이 됩니다^^

무를 먼저 깔고 굽는 고등어 조림으로 고등어도 맛있지만 졸인 무맛이 일품입니다.고등어를 좋아하지 않는 분들은 알려드린 양념장에 무만 넣고 졸여서 먹어도 일품인 반찬이 될 것 같습니다.

가을무는 인삼보다 좋아?!우리나라에서 지역에 따라 무수 혹은 무수라고도 불리는 무는 말 그대로 무시해선 안 되는 채소다.현재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는 채소는 단연 배추이고, 그 다음으로 많이 먹는 채소는 양파와 무이다.배추를 많이 먹는 이유는 물론 김치를 먹기 때문이다. 채소 섭취량 중 김치가 차지하는 비중이 40%에 달한다. 그런데 이렇게 배추로 김치를 담가 먹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로 과거에는 주로 무를 절여 김치에 담가 먹었다.겨울이면 무로 담그는 찬 동치미를 김치의 원형으로 보는 이유다. 이렇게 저희가 무를 많이… naver.me

#가을무도 인삼 부럽지 않다는 말 있죠?제철 생선과 제철 채소의 만남이 맛으로 바뀌네요 무는 메운 맛이 나는 것도 있고 단맛이 있는 것도 있습니다 종자에 따라 맛이 다르고 생산되는 토질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합니다 저는 평소 무맛을 보고 메운 맛이 나는 것은 익힌 음식에 단맛이 나는 것, 무침 요리에 많이 사용하는 총각무의 경우 메운 맛이 나는 것도 있지만 그럴 때는 김치를 담가 상온에서 하루 이틀 정도 두고 먹으면 메운 맛이 적고 맛있는 총각김치를 드실 수 있습니다

이제 #고등어요리로 갑니다 끓인 무위에 고등어를 씌웁니다양념장도 살짝 뿌려줍니다.대파도 수북하니 올리고 맛있게 익기를 기다립니다. 보글보글 김 때문에 사진은 뿌옇지만 맛있어지는 냄새가 나네요^^맛있는 고등어 조림 완성입니다 고등어 조림은 간고등어보다는 통고등어로 맛이 나지 않은 생고등어로 만드는 것이 부드럽고 맛있습니다.간고등어는 소금에 절여 구워 먹으면 맛이 나기 때문에 더 맛있게 즐길 수 있어요 부산에서는 코카루비라고 불립니다.고등어 조림을 할 때는 고등어가 맛이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양념장 만드는 것 꼭 기억하세요 오늘도 맛있는 하루 되세요 ^^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