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적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사태로 다중 이용 시설에 전자 출입 명단을 도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네이버 뉴스만으로 검색해도 벌써 울산시청, 광주 북구, 여수시 공주시의 공공 시설에서는 그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합니다.내가 근무하고 있는 곳도 역시 지방 자치 단체의 시설입니다. 8월 초에 재개관을 앞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시 개관과 함께 이를 도입해야 한대요. 관련하고 사업자의 입장에서 전자 출입 명단을 처음 방문객 입장에서 이를 이용하고 체크인 할 방법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덧붙여서 체크인은 QR코드를 이용한답니다. 카카오 톡과 네이버(모바일 웹 앱)에서 QR코드를 작성하세요. 그 중 오늘은 네이버 앱에서 QR코드를 발행하고 상기 시스템을 도입한 시설과 점포에서는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해서 전합니다. 전자 출입 명단의 시작 및 사용 방법 사업자의 입장
먼저 위를 도입해야 하는 점포, 시설물 사업자 입장에서 글을 시작해 볼까요? 먼저 매장에서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보건복지부가 만든 전자출입명부 앱을 설치합니다. 어플은 당연히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아이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모두 지원되며 각각 앱스토어, 구글플레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참고로 이 휴대폰으로 방문객이 제시하는 QR코드를 스캔해야 하기 때문에 사업자나 직원의 개인전화보다는 공용으로 사용할 공기기계를 하나 준비해두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나는 LG V40 ThinQ를 선택했습니다. 그런데 휴대폰은 내 구글 계정에 로그인해야 했고, 해당 앱을 받은 후 구글 및 SNS 계정과 연동되어 있던 앱은 모두 삭제하거나 사용 중지 처리해 주었습니다.

앱을 실행하면 로그인 페이지가 먼저 뜹니다. 여기서 최하단에 있는 「사업자 신규 등록」버튼을 누릅니다. 이윽고 약관 동의 페이지로 이동하지만 모든 약관에 동의한 후 상호,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한 후 ‘중복확인’ 버튼을 눌러 중복되지 않음을 확인합니다.㉠ 그리고 그 하단에 대표자명, 전화번호, 업종, 소재지, 주소를 입력하세요. 사업자등록증 스캔본을 첨부하고 하단의 “등록” 버튼을 누릅니다.
곧 해당 앱 관리자의 휴대폰 본인인증을 해야 합니다. 사용하고 있는 통신사를 선택하여 하단 약관에 동의하는 체크박스에 체크한 후 하단의 시작 버튼을 누릅니다. 이때 사용하고자 하는 기기가 개통되어 있는 기기라면 패스 앱을 사용하면 되는데 그렇지 않으면 이전 버튼을 눌러 문자 인증 절차를 밟으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별도의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는데 아이폰으로 인증번호 메시지를 받고 인증 절차를 마무리해 주었습니다.

이윽고 앱 로그인 시 사용할 아이디를 입력한 후 중복 체크를 해줍니다. 이후 해당 계정에 사용할 비밀번호를 두 번 입력하고 하단의 ‘등록’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윽고 000님의 관리자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메세지가 뜨면서 기입한 아이디로 다시 알려드립니다.이 아이디로 로그인하면 하단의 스크린샷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앱이 종료되면 로그인이 해제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저장해 두면 본인 이외에도 다른 직원들이 사용하기 편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참고로 QR코드를 스캔하는 인력을 추가 등록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공용 스마트 폰으로 돌리고 쓰는 것이 좀 그렇다면 직원별 ID를 발행하고 해당 직원이 본인의 개인 휴대 전화에 앞서고 직원용으로 발급한 ID와 패스워드로 로그인 하면 좋습니다. 관리자도 직원도 방문자 조회 때 해당 날짜에 몇시에 몇명이 방문했는지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개인 정보 보호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스태프에서 보면 좀 싫어하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직원용으로 발급하고 준 ID로 로그인한 후, 방문객의 QR코드를 스캔하면 해당 사업자의 방문자로 등록되므로 데이터가 뒤섞인 걱정은 안 해도 되겠네요. 그리고 원하는 직원에게 “시설 관리자”로서 권한을 부여하는 것도 해당 계정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직원 삭제”를 할 뿐입니다. 이때 해당 직원의 휴대는 로그인이 자동적으로 해제되었습니다. 네이버 QR코드 발행 방법 방문객 입장

방문객이며 네이버를 이용하여 매장 및 시설에 체크인 하시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진행해주시기 바랍니다. 우선 네이버 앱이나 네이버 모바일 웹에서 로그인을 해줍니다. 이윽고 첫 화면 상단 우측의 프로필 아이콘을 클릭하고 내 서랍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동한 페이지 상단 우측에 있는 QR체크인 버튼을 누릅니다.
이윽고 몇 가지 약관 동의와 함께 휴대폰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초기에만 휴대폰 인증을 하시면 되고 이후에는 위 메뉴를 눌러 매번 QR코드를 발급받으시면 되며 약관에만 동의하시면 됩니다. 매장에서의 사용방법 사업자&방문객방문객은 매장 및 시설에 방문하면 네이버 앱에서 상단 우측 프로필 아이콘을 눌러 ‘내 서랍’ 페이지로 이동하고, 다시 상단 우측 ‘QR 체크인’ 버튼을 눌러 몇 가지 약관에 동의한 후 QR코드를 발급합니다. 그리고 매장이나 시설 직원에게 QR코드를 제시해 주세요.매장 직원은 이전에 전철 출입명부 앱을 설치한 휴대폰을 가져와 실행한 후 첫 화면 상단의 QR코드 스캔 메뉴를 눌러줍니다. 그리고 방문객이 제시한 QR코드를 앱 사각형 틀 안에 넣어 스캔하면 됩니다.이윽고 매장 직원은 방문객이 방금 발급받은 유효한 QR코드를 제시했다면 ‘인증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앱은 ‘하루 방문자 조회’라는 페이지로 이동하는데 여기서 날짜별, 시간별 방문자 수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이렇게 사업자 입장에서 전자출입 명단을 시작하는 방법, 방문객 입장에서 네이버 앱/모바일 웹을 통해 QR코드를 발급받아 체크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사업자 입장에서도 방문객 입장에서도 그 과정이 매우 간단해 보였습니다. 근무처가 다시 오픈해서 실제로 해당 앱을 이용하면 어떤 경험을 제공하는지 직접 체험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