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등이라는 착각은 금물. 이건희의 경고 삼성반도체에 주는 교훈은?

1988년 이건희 고민 D램 인재 변화 제3의 창업 선언과 같은 혁신적 변화의 필요성 제기, 이건희 삼성전자 선대회장과 삼성전자가 1988년 개발한 4MB D램

팁(Chip) 만사.

팁(Chip) 만사.

마냥 어려워 보이는 반도체에도 누구나 공감하는 ‘세상 만사’가 있습니다.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서 주요국의 전쟁터가 된 반도체 시장. 그 속 부드러운 비하인드 스토리부터 촌각을 다투는 트렌드 이슈까지, ‘팁 만사’가 세상 만사를 전할 수 있도록 간단히 알려드립니다.

[헤럴드 경제=김·민지 기자]”삼성이 으뜸이라는 착각은 금물이다.첫째 되려면 어떻게 하는지 제가(업체에서 메기처럼 다니면서 교육하고 있다”(고 나·곤히 삼성 전자 선대위 회장)이재용(이·재용)삼성 전자 회장이 27일로 취임 1주년을 맞이했습니다.1년간 이재용 회장은 국내외의 삼성 전자 사업장을 뒤지고, 삼성의 미래에 대한 밑그림을 그린 것으로 보입니다.그 중에서도 이 회장이 가장 고민한 것은 단연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분야이었을 것입니다.메모리 반도체에 이어시스템 반도체 1위를 위해서 반드시 성공을 거둬야 할 미래의 음식 시장이기 때문입니다.문득 고 이건희(이·곤 히)선대 회장은 취임 1년 만에 어떤 고민을 했는지 궁금했어요.1980년대 후반에 메모리 반도체 격전이 벌어졌을 때 이건희(이·곤 히)선대 회장의 머릿속을 가득 메운 것은 단연 D램이었습니다.반도체 세계 2위까지 올랐지만 당시 강국이었던 일본이라는 벽을 뛰어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이 선대 회장은 반도체 1위로 삼성이라는 조직의 혁신, 인재 제일 철학의 3개가 모두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습니다.오늘 팁만 사는 지금의 삼성을 만든 이건희(이·곤 히)선대 회장의 머리 속의 철학을 돌아보고, 현재의 삼성 반도체가 얻는 교훈은 뭔가를 보고 갑니다.

이건희 삼성 선대 회장과 이재용 삼성. [삼성전자 제공]

1988년 이건희 변화 또 변화

이건희(이·곤 히)선대 회장은 1987년 12월에 회장으로 취임했습니다.그 후 3개월 후의 1988년 3월 그는 ” 제2의 창업”을 선언합니다.당시 그의 최대 관심사는 ▷ 삼성 반도체를 세계 1등을 하기 ▷ 삼성 조직의 이른바”정신 상태”을 바꾸기 ▷ 삼성이 도덕적 비난되지 않는 회사로 하는 것(복지 사업)이었습니다.취임 3년차였던 1989년 이·곤 히 회장님이 있는 언론과 한 심층 대담을 보면 그의 반도체에 대한 고민을 엿볼 수 있습니다.그는 1989년 월간 조선과의 인터뷰에서 앞으로 어떤 사업에 역점을 두느냐는 질문에 “역시 반도체”로 “반도체가 무기가 될 소지가 충분하다”라고 강조했습니다.당시 이 회장은 일본과의 기술력의 차이에 대한 안타까움과 우려도 나타냈습니다.그는 “솔직히 말하면 삼성 제품 중에서 『 세계 제일 』은 없다”며”반도체가(매출과 기술 면에서)세계 2위”이라고 말했다.동시에 “도시바·히타치가 4Mb제품(D램)에서 가장 먼저 가는 회사이지만, 삼성은 그것보다 6개월 늦어지고 있다”며”6개월 하면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반도체 6개월이 6년보다 길”로 했습니다.이건희 회장은 “삼성에게 세계 제일의 무언가 만드는 것이 목표였습니다.그리고 그 대상으로 반도체를 든 것입니다.

삼성전자가 1988년 개발한 4MB D램(왼쪽)과 1992년 업계 최초로 개발한 64MB D램(오른쪽)[삼성전자 홈페이지]

좋은 직원에게서 좋은 제품 나온다 조직 마인드 중요

인력과 조직 문화의 면에서도 2023년 삼성 반도체가 얻는 교훈이 많습니다.오늘의 반도체 업계의 최대 화두는 단연 인재 확보입니다.이노베이션을 실현하는 기술 인재 확보가 최대의 과제입니다.조직 내 직원의 업무 몰입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것도 급선무입니다.삼성의 인재 제일 경영 철학이 조직 전반에 걸쳐서 지금까지 계속되고있습니다만, 시대가 바뀌는 바람에 사내 조직 관리가 예전만큼 쉽지 않습니다.토론토 대학의 로저·마틴 명예 교수는 최근 열린 “이·곤 히 회장 3주기 추모·삼성 신경영 30주년 기념 국제 학술 대회”에서 “삼성이 초일류 기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직원의 몰입 수준을 한층 더 끌어올려야 한다”로 ” 그러기 위해서는 직원이 회사를 안에서 존중된 『 내가 회사에 의사 결정을 내린다는 자부심 』 등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습니다.1989년 이·곤 히 회장은 삼성 반도체를 세계 최고로 만들려면 조직의 “마인드”를 바꿀 핵심이라고 보았습니다.건전한 위기 의식이 회사를 발전시킨다고 본것입니다.이·곤 히 회장은 “『 삼성이 제일이다 』다는 생각이 들어 지금도 그렇게 착각하는 직원이 많다”로서 “제일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제가 메기처럼 다니면서 교육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그는 평소 메기론을 강조한 것으로 유명합니다메기론은 미꾸라지들끼리만 키운 곳보다 메기와 함께 키운 곳의 미꾸라지가 건강하다는 사례에서 비롯된 철학입니다.즉, 적당한 위기 의식이 조직의 발전을 이루겠다는 것입니다.그는 삼성을 “직원이 『 우리 회사이다 』으로 생각하는 회사에 하고 싶지만, 정말 힘들다”라고 말했습니다.또”직원에 역점을 두어야 좋은 제품이 나온다는 게 내 철학”이라며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삼성 전자 수원.[삼성 전자 제공]1988년에 선언했다” 제2의 창업”선언에도 이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시대가 바뀌면서 직원의 자율성이 커져야 한다는 것입니다.이 선대 회장은 “이·병철 창업 회장이 50년간 이끌어 오니 직원이 틀에 박힌 대로 할 뿐 좋았지만 지금은 한국 사회가 엄청나게 바뀐 자율 개념의 경영이 필요한 “이라고 말했습니다.조직 내 힘의 분배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모습이었습니다.그는 “옛날에는 회장이 80%, 비서실이 10%, 각 사장이 10%의 힘을 가지고 있었지만 향후는 나(회장)이 20%, 비서실의 250명이 40%, 각 사장이 40%를 갖게 하려고”이라며”나는 비서실과들이 충돌할 때 중재만 하면 좋은 “고 말했습니다.현 시점에서 보면 회장 혼자가 아니라 인력으로 구성된 컨트롤 타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도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시스템반도체 1위’ 목표 삼성 이건희 ‘제2의 창업’ 같은 혁신 필요

‘시스템반도체 1위’ 목표 삼성 이건희 ‘제2의 창업’ 같은 혁신 필요

삼성 전자의 이·영 회장이 8월 서울 신천동 삼성 SDS를 방문하고 직원들과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삼성 전자 제공]이·곤 히 회장 때에 삼성은 메모리 반도체 1위에 올랐습니다.그러나 지금은 또 다른 과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1위에 되는 것입니다.대만 TSMC에 밀려사실상 세계 2위 파운드리 분야에서의 혁신이 절실한 상황입니다.이·영 회장은 이 1년간 직원과의 스킨십도 늘리고 여러가지 국내외 사업 현장을 돌며 현장 경영을 거듭했지요.그 과정에서 “세계 제일 삼성”에 대한 분석과 직원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이런 저런 고민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재계에서는 이·영 회장이 운영하는 향후 1년에 주목합니다.확실한 사업 포트폴리오 개편과 혁신을 위해서는 이른바” 제3의 창업”선언 같은 파격적 발표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입니다.과거보다 산업이 훨씬 빨리 급변하는 만큼 현실에 안주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도 나옵니다.KAIST경영 대학의 이·양길승 교수는 “현재까지는 이·병철 창업 회장이 삼성 그룹을 만들어 이·곤 히 선대 회장이 글로벌 기업을 키운 것에 비하면 사업 포트폴리오는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원래 삼성이 오늘 이렇게 성공하게 된 이유가 『 세계 제일 』을 내세웠던 때문인데(이·곤 히 회장 이후)이·재용 회장만 경영 철학과 비전이 아직 발표되지 않은 “라고 지적했어요.한국 경영 학회의 김·지에그 회장(명지대 경영학과 교수)도 “이·곤 히 회장의 앞선 『 새 경영 30년 』가 있었다면 이제 또 새로운 『 삼성 웨이 』을 만들어 나가는 과제가 이·영 회장에게 있다”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김민지 [email protected]://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016/0002216598?cid=20003871등이라는 착각은 금물. 이건희의 경고 삼성반도체에 주는 교훈은? [김민지 팁 만사!] ‘칩만사’처럼 어려워 보이는 반도체에도 누구나 공감하는 ‘세계만사’가 있습니다.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서 주요국의 전쟁터가 된 반도체 시장. 그 안의 부드러운 비하인드 스토리부터 촌각을 다투는 n.news.naver.com1등이라는 착각은 금물. 이건희의 경고 삼성반도체에 주는 교훈은? [김민지 팁 만사!] ‘칩만사’처럼 어려워 보이는 반도체에도 누구나 공감하는 ‘세계만사’가 있습니다.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서 주요국의 전쟁터가 된 반도체 시장. 그 안의 부드러운 비하인드 스토리부터 촌각을 다투는 n.news.naver.com1등이라는 착각은 금물. 이건희의 경고 삼성반도체에 주는 교훈은? [김민지 팁 만사!] ‘칩만사’처럼 어려워 보이는 반도체에도 누구나 공감하는 ‘세계만사’가 있습니다.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서 주요국의 전쟁터가 된 반도체 시장. 그 안의 부드러운 비하인드 스토리부터 촌각을 다투는 n.news.naver.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